김홍도풍속도화첩(풍속)

단원풍속화첩(김홍도필) 풍속은 조선 후기 화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25점을 모은 화첩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527호이다. 단원 김홍도(1745-1806)는 영조, 정조 때 활동하면서 청나라를 통해 익힌 것으로 보이는 서양화법을 과감히 도입하고, 색채의 농담과 명암으로 원근감을 나타낸 훈염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이전 화가들이 그리지 않았던 민중의 삶을 그린 풍속화를 많이 남겼다. 대표적으로 <서당>, <씨름> 등이 있는데 농사짓는 사람, 빨래하는 여인 등을 그렸다. 조선 시대에는 시서화라고 하여 시, 서예, 그림 세 가지를 모두 취미로 삼거나 단련하는 문인이 많았기 때문에 한 장르에 통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김홍도는 그림에 충실하여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다재다능하게 소화한 화가이다. 단원풍속화첩(김홍도필) 풍속은 조선 후기 화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25점을 모은 화첩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527호이다. 단원 김홍도(1745-1806)는 영조, 정조 때 활동하면서 청나라를 통해 익힌 것으로 보이는 서양화법을 과감히 도입하고, 색채의 농담과 명암으로 원근감을 나타낸 훈염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이전 화가들이 그리지 않았던 민중의 삶을 그린 풍속화를 많이 남겼다. 대표적으로 <서당>, <씨름> 등이 있는데 농사짓는 사람, 빨래하는 여인 등을 그렸다. 조선 시대에는 시서화라고 하여 시, 서예, 그림 세 가지를 모두 취미로 삼거나 단련하는 문인이 많았기 때문에 한 장르에 통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김홍도는 그림에 충실하여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다재다능하게 소화한 화가이다.

서당, 단원풍속도첩(단원풍속)으로 종이에 담채, 27×2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당, 단원풍속도첩(단원풍속)으로 종이에 담채, 27×2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씨름, 탈춤 씨름, 탈춤

빨래터, 주막 김홍도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풍속화는 대부분 그가 30대에 그린 것이다. <행려 풍속도>는 필력과 화면의 짜임새가 미숙한 채 흑립을 쓴 선비와 관료, 머슴과 농어의 생활상 등 일상 속에서 흔한 소재로 현장감 있는 배경 처리와 함께 회화적으로 이끌고자 했던 김홍도의 의욕이 배어 있다. 「행려 풍속도」보다 더 완성된 형태의 인물 소묘력이 보이는 작품으로 「풍속화첩」이 있다. 한 폭의 크기는 27.0×22.7cm로 전체 25점으로 구성된 이 화첩은 정확한 연대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인물 묘사 기법과 필치로 보아 30대 후반의 작품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풍속화첩」은 배경을 생략하고 소묘풍에 약간의 담채를 더해 종이에 그린 것으로, 본격적인 풍속화라기보다는 일종의 풍속화 스케치북 형태이다. 빨래터, 주막 김홍도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풍속화는 대부분 그가 30대에 그린 것이다. <행려 풍속도>는 필력과 화면의 짜임새가 미숙한 채 흑립을 쓴 선비와 관료, 머슴과 농어의 생활상 등 일상 속에서 흔한 소재로 현장감 있는 배경 처리와 함께 회화적으로 이끌고자 했던 김홍도의 의욕이 배어 있다. 「행려 풍속도」보다 더 완성된 형태의 인물 소묘력이 보이는 작품으로 「풍속화첩」이 있다. 한 폭의 크기는 27.0×22.7cm로 전체 25점으로 구성된 이 화첩은 정확한 연대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인물 묘사 기법과 필치로 보아 30대 후반의 작품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풍속화첩」은 배경을 생략하고 소묘풍에 약간의 담채를 더해 종이에 그린 것으로, 본격적인 풍속화라기보다는 일종의 풍속화 스케치북 형태이다.

벼베기 벼베기

황묘의 농접을 참고하여 김홍도필(김홍도필)『풍속도화첩』 황묘의 농접을 참고하여 김홍도필(김홍도필)『풍속도화첩』

error: Content is protected !!